Flask란 ?

2021. 10. 12. 22:53

1. 웹서비스의 동작 원리

출처 : spartacodingclub 웹개발 플러스 교재

1.1 서버란 ?

- 서버는 특수한 컴퓨터다 ? NO

- 서버는 컴퓨터의 '역할' 중 하나, 사람이 투잡을 하는 것처럼 컴퓨터도 여러 역할을 맡을 수 있다! DB도 돌리고, 서버도 돌리고 ....

- 서버는 요청을 받으면 HTML+CSS+JavaScript 파일을 주기도 하고, JSON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기도 한다.

 

1. 2 API 란?

- 서버가 요청을 받기 위해 열어놓은 '은행 창구'같은 존재

-  같은 예금 창구에서도 개인 고객이냐 기업 고객이냐에 따라 가져와야 하는 것/처리해주는 것이 다른 것처럼, 클라이언트가 요청 할 때에도, "타입"이라는 것이 존재( 예. GET타입, POST타입 등등)

  • GET → 통상적으로! 데이터 조회(Read)를 요청할 때 예) 영화 목록 조회
  • POST → 통상적으로! 데이터 생성(Create), 변경(Update), 삭제(Delete) 요청 할 때 예) 회원가입, 회원탈퇴, 비밀번호 수정
GET 요청은, url뒤에 아래와 같이 붙여서데이터를 가져간다.
http://naver.com?param=value&param2=value2
POST 요청은, data : {} 에 넣어서 데이터를 가져간다.
data: { param: 'value', param2: 'value2' },

 

1.3 Ajax란?

 - 서버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것

$.ajax({
  type: "GET", // GET 방식으로 요청한다.
  url: "http://openapi.seoul.go.kr:8088/6d4d776b466c656533356a4b4b5872/json/RealtimeCityAir/1/99",
  data: {}, // 요청하면서 함께 줄 데이터 (GET 요청시엔 비워두세요)
  success: function(response){ // 서버에서 준 결과를 response라는 변수에 담음
    console.log(response) // 서버에서 준 결과를 이용해서 나머지 코드를 작성
  }
})

 

2. Flask

2.1 flask란?

- Flask는 서버를 만드는 프레임워크, 서버를 구동하기 위한 필요한 복잡한 일들을 쉽게 가져다 쓸 수 있다!

  (프레임 워크를 쓰지 않으면 태양초를 빻아서 고추장을 만드는 격/ 프레임워크는 3분요리/소스 세트!) 

 

2.2 flask 기본 코드

- 아래 코드를 run 하고, http://localhost:5000/으로 접속하면, index.html 페이지를 볼 수 있다.

from flask import Flask
app = Flask(__name__)

@app.route('/')
def home():
   return 'This is Home!'

if __name__ == '__main__':  
   app.run('0.0.0.0',port=5000,debug=True)

 

반응형

'내일배움캠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31일째(21.10.14) TIL  (0) 2021.10.14
30일째(21.10.12) TIL  (0) 2021.10.12
24일째(21.10.06) TIL  (1) 2021.10.07
18일차 (21.09.30) TIL  (0) 2021.09.30
17일차 (21.09.29) TIL  (0) 2021.09.29

BELATED ARTICLES

more